네이버 증권 종목분석에 기업현황 마지막 시간이다.
밑쪽에 보면 투자의견 컨센서스가 있다. (참고로 삼성전자의 기업현황이다)
증권사 등에서 발표하는 컨센서스를 종합해놓은 표이다. 왼쪽 그림에는 강력 매도, 매도, 중립, 매수, 강력 매수 중에 평균 매수 점수를 표시해준다. 여기에 표시된 점수는 오른쪽 '투자의견'의 점수와 똑같다. 참고로 증권사에서는 기업들에 대해 안 좋은 전망을 내놓기가 쉽지 않다. 다시 말해 강력 매도나 매도의 컨센서스는 거의 보기가 어렵다. 중립 정도이면 증권사에서는 해당 기업의 전망을 안 좋게 본다는 의미이다.
목표주가는 증권사에서 예상하는 목표주가의 평균치이다. EPS, PER 역시 마찬가지로 추정치의 평균이고 높으면 높을수록 좋겠지만 무조건 신뢰할수는 없다. 추정기관수는 24개인데 우리나라 최대 기업인만큼 수많은 기업들이 추정치를 내고 있다. 작고 소외된 종목들은 컨센서스가 없는 경우도 많다.
밑에 그래프에서는 과거 투자의견, 목표주가, 수정주가를 그래프로 볼 수 있다.
수정주가는 그냥 주가라고 생각해면 된다. 기업이 액면분할 등을 하게 되면 주가에 영향을 주므로 이것을 보정해준 주가이다.
투자의견 분포는 여러 증권사들의 투자의견이 어디에 분포해있는지 한눈에 보여준다.
그 밑에는 각 증권사에서 언제 어떤 의견을 내었는지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추정실적 컨세서스에서는 실적에 대해서 예상치를 볼 수가 있다. 연간으로도 볼 수 있고 분기로도 볼 수 있다.
순부채비율은 부채에서 현금성 자산들을 뺀 후 자본으로 나눈 값이다.
이것으로 기업현황에 있는 내용들을 모두 살펴보았다.
기업현황만 제대로 볼 수 있어도 투자에 필요한 대부분의 재무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음 시간에는 옆에 기업개요를 보겠다.
'투자 공부(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용어를 공부해보자(10) - 종목분석(재무분석-포괄손익계산서) (0) | 2020.09.11 |
---|---|
주식 용어를 공부해보자(9) - 종목분석(기업개요) (0) | 2020.09.10 |
세일이 끝난 후 평소에 해야 할 일 (0) | 2020.09.01 |
주식 용어를 공부해보자(7) - 종목분석(기업현황2) (0) | 2020.08.20 |
'기업의 가치를 측정한다는 것'에 대하여 (0) | 2020.08.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