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현황2 주식 용어를 공부해보자(8) - 종목분석(기업현황3) 네이버 증권 종목분석에 기업현황 마지막 시간이다. 밑쪽에 보면 투자의견 컨센서스가 있다. (참고로 삼성전자의 기업현황이다) 증권사 등에서 발표하는 컨센서스를 종합해놓은 표이다. 왼쪽 그림에는 강력 매도, 매도, 중립, 매수, 강력 매수 중에 평균 매수 점수를 표시해준다. 여기에 표시된 점수는 오른쪽 '투자의견'의 점수와 똑같다. 참고로 증권사에서는 기업들에 대해 안 좋은 전망을 내놓기가 쉽지 않다. 다시 말해 강력 매도나 매도의 컨센서스는 거의 보기가 어렵다. 중립 정도이면 증권사에서는 해당 기업의 전망을 안 좋게 본다는 의미이다. 목표주가는 증권사에서 예상하는 목표주가의 평균치이다. EPS, PER 역시 마찬가지로 추정치의 평균이고 높으면 높을수록 좋겠지만 무조건 신뢰할수는 없다. 추정기관수는 24개인.. 2020. 9. 5. 주식 용어를 공부해보자(7) - 종목분석(기업현황2) https://reasonable-investment.tistory.com/13 주식 용어를 공부해보자(6) - 종목분석(기업현황1) 드디어 종목분석으로 넘어왔다. 여기에서부터는 내용도 많고, 투자에 도움이 될만한 부분도 많다. 설명할 것들이 많으니 중간중간 끊으면서 갈수도 있다. "종목분석"에는 위에서 보듯 기업현황, reasonable-investment.tistory.com 저번 시간에 이어서 기업현황 아랫부분을 보자. 펀더멘털, 즉 한 기업의 기본적인 상태를 나타낸 부분이다. PER, PBR, EPS, BPS는 이전 글에서 설명하였으므로 넘어가겠다. 1. PCR (Price per Cash Ratio, 주가 현금비율) 현금흐름 대비 주가의 비율을 보는 지표이다. PER과 비슷한 개념이지만 PER의.. 2020. 8.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