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공부(이론)

주식 용어를 공부해보자(3) - 시세

by 헬스구루 2020. 7. 28.

주식 용어를 공부해보자 3번째 시간이다.

오늘 알아볼 항목은 종합정보 바로 옆에 있는 "시세"이다

계속해서 "씨앤지하이테크"를 예시로 설명하겠다.

 

 

 

"주요시세"항목에서는 시세와 관련된 굵직한 정보들을 모두 볼 수 있다.

 

1. 현재가 : 말 그대로 지금의 가격을 말한다. 사는 사람은 가장 싸게 사고 싶어할 것이다. 파는 사람은 가장 비싸게 팔고 싶어할 것이다. 이 사이에서 가격이 결정되는데, 정확히는 "매도호가"랑 "매수호가" 중 마지막으로 거래된 가격으로 현재가가 결정된다.

2. 전일대비 : 전일대비 변동을 "원"으로 표시한다.

3. 등락률(%) : 전일대비 변동을 "퍼센트"로 표시한다.

4. 거래량 : 오늘 하루 거래된 주식의 수 이다.

5. 거래대금(천) : 오늘 하루 거래된 주식의 전체 가격이다. (거래된 주식수 x 거래된 가격)

6. 액면가 : 주권 표면에 적혀있는 가격이다. 처음 주식을 발행했을 때의 최소 가격 정도로 보면 된다.

7. 매도호가 : 매도려는 가격들 중 가장 싼 가격이다.

8. 매수호가 : 매수하려는 가격들 중 가장 비싼 가격이다.

9. 전일가 : 전일 마지막으로 결정된 가격이다.

10. 시가 : 그날 아침 처음으로 거래된 가격이다.

11. 고가 : 오늘 하루 중 가장 비싼던 가격이다.

12. 저가 : 오늘 하루 중 가장 쌌던 가격이다.

13. 상한가 : 오늘 거래될 수 있는 가장 높은 가격이다. 우리나라는 하루에 주가의 변동폭을 전일 종가기준 상하 30%로 제한하고 있다.

14. 하한가 : 오늘 거래될 수 있는 가장 낮은 가격이다.

15. 전일상한, 전일하한 : 전일의 상한가, 하한가이다.

16. PER : Price earning ratio(주가수익비율)의 약자로 주가대비 얼마나 돈을 잘 버는지를 나타낸다. 낮을 수록 저평가되어있다고 본다. 계산은 "당기순이익/시가총액" 또는 "EPS/주가"로 할 수 있다.

17. EPS : Earning Per Share(주단순이익)의 약자로 얼마나 주식 한개당 벌어들이는 순이익을 말한다. 계산은 "당기순이익/주식수"로 할 수 있다.

18. 52주 최고, 52주 최저 : 전 52주간 최고가격과 최저가격이다.

19. 시가총액 : 발행된 주식 전체의 가격이다. 주식 전체를 사는데 필요한 금액으로, 쉽게 얘기해서 이 돈을 가지고 주식을 모두 산다면 그 회사의 지분 100%를 자기것으로 만들 수 있다.

20. 상장주식수 : 상장된 주식 숫자이다. 이 주식수를 모두 가지고 있으면 회사가 통째로 본인것이 되는것이다.

21. 외국인현재 : 외국인이 현재 가지고 있는 주식의 숫자이다.

22. 자본금 : 처음 회사를 설립할때 들었던 기초금이라고 볼 수있다. 계산은 "액면가 x 발행주식수"이다. 회사가 돈을 못벌어 자본금 이하로 돈이 없어지면 자본잠식이라고 말하는데, 사실상 이미 망한 회사라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호가"이다. 흔히 호가창이라고 부르는 부분이기도하다.

"호가"는 "부를 호"에 "값 가"이다. 즉 사거나 팔 가격을 부른다고 보면 된다.

1. 매도호가 : 팔려는 사람들이 올려놓은 가격이다.

2. 매수호가 : 살려는 사람들이 올려놓은 가격이다.

3. 매도잔량, 매수잔량 : 해당 가격에 팔거나 사려는 주식 수를 얘기한다. 예를들어 위 그림에서는 9,370원에 주식을 살려고 올려놓은 호가가 441개가 있다는 것이다. 다르게 표현하면 내가 9,370원에 해당 주식을 팔려고한다면 441개까지는 지금 당장 팔 수 있다는 것이다.

4. 잔량합계 : 매도잔량, 매수잔량을 합쳐놓은 숫자이다.

5. 5단계, 10단계 : 우측 상단에 작은 글씨로 5단계, 10단계를 선택할 수 있다. 한 창에 보여지는 가격 수가 5개까지 보여줄것인가 10개까지 보여줄 것인가 정하는 것이다. 5단계에서는 띄엄띄엄이 아니라 현재가에 가까운 5개 매도호가 매수호가를 보여준다.

 

말 그대로 시간별(분단위)로 시세를 알려준다. 각각의 항목은 위에서 설명했으므로 넘어간다.

(변동량은 그만큼 거래가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이전 거래량에 변동량을 더하면 다음 거래량이 된다.)

 

일별로 시세를 정리하여 나타낸다. 각각의 항목은 위에서 설명했으므로 넘어간다.

 

 

오늘은 시세 파트를 알아보았다.

다음에는 그 옆에 "차트"파트를 알아보겠다.

댓글